건강 이야기

식도암: 증상, 진단, 치료에 대한 포괄적 가이드

내과 황원장 2025. 4. 21. 16:53
728x90
반응형
반응형

식도암: 증상, 진단, 치료에 대한 포괄적 가이드

endoscopic finding of esophageal cacner, 우리내과 자료

 

Pathologic finding of esophageal cancer, 우리내과 자료

우리내과에 건강 검진 목적으로 방문한 71세 남자 환자의 내시경 및 조직 검사 결과지로, 상부 식도에 식도암의 병변이 관찰되며, 조직 검사 상: 중등도 분화도의 편평 세포 식도암으로 진단되어, 서울 삼성 의료원에서 내시경하 점막 박리술후 5년째 별 탈 없이 잘 지낸시는 분의 증례 입니다.

식도암은 소화기 계통의 중요한 부분인 식도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입니다. 초기에 발견하면 치료 효과가 좋지만, 불행히도 많은 경우 증상이 나타날 때쯤에는 이미 진행된 상태인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식도암의 증상, 진단 방법, 치료 옵션에 대해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식도암의 유형

식도암은 주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1. 편평세포암종(Squamous Cell Carcinoma): 식도 상부와 중부에서 주로 발생하며, 흡연과 음주가 주요 위험 요인입니다.
  2. 선암종(Adenocarcinoma): 식도 하부에서 주로 발생하며, 위식도 역류질환(GERD)과 배럿식도(Barrett's Esophagus)가 주요 위험 요인입니다.

식도암의 주요 증상

식도암의 초기에는 증상이 거의 없거나 미미할 수 있어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삼킴 곤란(연하곤란): 가장 흔한 증상으로, 음식을 삼킬 때 불편함이나 통증을 느끼며 점차 악화됩니다.
  • 체중 감소: 음식 섭취 어려움으로 인한 체중 감소가 두드러집니다.
  • 가슴 통증 또는 불편감: 특히 음식을 삼킬 때 더 심해질 수 있습니다.
  • 만성적인 기침: 특히 음식을 삼킬 때 발생하는 기침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 쉰 목소리: 종양이 주변 신경을 압박할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구토와 구역질: 식도 폐쇄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토혈: 진행된 식도암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심각한 증상입니다.

식도암의 위험 요인

식도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주요 요인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흡연과 음주: 특히 두 가지를 함께 할 경우 위험이 크게 증가합니다.
  • 위식도 역류질환(GERD): 만성적인 역류는 배럿식도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배럿식도: 식도 하부 세포의 변화로, 선암종 발생 위험을 높입니다.
  • 비만: 특히 복부 비만은 식도암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 불균형한 식이: 과일과 채소 섭취 부족, 매우 뜨거운 음식 섭취 등이 위험 요인입니다.
  • 가족력: 식도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위험이 증가합니다.

식도암의 진단 방법

정확한 진단을 위해 다음과 같은 검사들이 사용됩니다:

  1. ✨상부 내시경 검사(Upper Endoscopy): 식도 내부를 직접 관찰하고 의심되는 부위에서 조직 검사를 시행합니다.
  2. 바륨 연하 검사(Barium Swallow): X-레이를 통해 식도의 이상을 확인합니다.
  3. 내시경 초음파(Endoscopic Ultrasound): 종양의 깊이와 주변 림프절 침범 여부를 평가합니다.
  4. CT 스캔, PET 스캔, MRI: 암의 병기 결정과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데 중요합니다.
  5. 생검(Biopsy): 조직 샘플을 채취하여 암세포 여부를 확인하는 결정적 검사입니다.

식도암의 치료 옵션

식도암 치료는 암의 병기,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암의 위치에 따라 결정됩니다:

1. 조기 식도암 치료

  •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조기 식도암에 적용되는 최소 침습 시술로, 내시경을 통해 암이 있는 식도 점막층을 제거합니다. 암이 점막층에 국한되어 있고 림프절 전이가 없는 경우에 효과적입니다.
  • ✨내시경적 점막하 박리술(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EMR보다 더 정밀한 방법으로, 더 큰 병변이나 점막하층까지 침범한 조기 암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광역동 치료(Photodynamic Therapy): 광감작제와 특정 파장의 빛을 사용하여 암세포를 파괴하는 방법으로, 특히 배럿식도와 관련된 초기 선암종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2. 수술적 치료

  • 식도 절제술(Esophagectomy): 식도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하고 위장이나 대장의 일부를 이용해 재건합니다.
  • 최소 침습 수술: 로봇 보조 수술이나 복강경 수술로 회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습니다.

3. 방사선 치료

  • 암세포를 파괴하기 위해 고에너지 방사선을 사용합니다.
  •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수술 전후 또는 화학요법과 병행할 수 있습니다.

4. 화학요법

  • 암세포의 성장과 분열을 막는 약물을 사용합니다.
  • 수술 전 종양을 축소하거나(신보조 요법), 수술 후 남은 암세포를 제거(보조 요법)하는 데 사용됩니다.

5. 표적 치료와 면역 요법

  • 특정 암세포의 특성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이나 인체의 면역 체계를 활성화하는 치료법입니다.
  • 진행성 식도암에서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6. 완화 치료

  • 진행된 식도암에서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한 치료입니다.
  • 식도 스텐트 삽입, 영양 공급 관리, 통증 조절 등이 포함됩니다.

식도암 예방 및 조기 발견을 위한 조언

  • 금연과 절주는 식도암 예방의 핵심입니다.
  • 건강한 체중 유지와 균형 잡힌 식이를 실천하세요.
  • 만성 위식도 역류질환은 적절히 치료해야 합니다.
  •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합니다.

결론

식도암은 심각한 질환이지만,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로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조기 발견 시 내시경적 점막 절제술과 같은 최소 침습 시술로 장기 보존이 가능하며 삶의 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삼킴 곤란이나 만성적인 가슴 통증과 같은 증상이 지속된다면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정기적인 검진과 건강한 생활 습관은 식도암 예방과 조기 발견에 큰 도움이 됩니다.

대구 중구 우리내과 황원장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