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장염 증상, 진단, 치료 총정리 – 꼭 알아야 할 건강 정보
급성 장염은 누구나 한 번쯤 겪어볼 수 있는 흔한 질환입니다. 복통,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갑작스럽게 나타나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주며, 심한 경우 탈수나 전해질 불균형으로 인해 입원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급성 장염의 원인, 주요 증상, 진단 방법, 치료 및 예방법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리겠습니다.
급성 장염이란?
급성 장염은 위장관, 특히 소장이나 대장에 염증이 생겨 생기는 질환으로, 보통 감염에 의해 갑작스럽게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바이러스, 세균, 기생충 등이 원인일 수 있으며, 여름철 음식물 섭취 후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급성 장염의 주요 원인
- 바이러스 감염 –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 등이 대표적이며, 겨울철에도 유행할 수 있습니다.
- 세균 감염 – 살모넬라, 대장균, 캄필로박터 등이 음식물이나 오염된 물을 통해 감염됩니다.
- 기생충 감염 – 지아르디아, 아메바 등이 장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해외 여행 중 감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항생제나 약물 부작용 – 특정 항생제 복용 후 장내 유익균이 파괴되면서 장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음식 알레르기 또는 과민 반응 – 음식물에 대한 비정상적인 반응으로 장점막이 자극을 받아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급성 장염의 증상
급성 장염은 발병 초기부터 다양한 위장 증상을 동반합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복통 – 배꼽 주위 또는 하복부에 경련성 통증이 발생합니다.
- 설사 – 하루 수차례 이상 묽은 변이 발생하며, 때로는 점액이나 피가 섞이기도 합니다.
- 구토 및 메스꺼움 – 특히 바이러스성 장염에서 흔히 동반됩니다.
- 발열 – 감염성 원인일 경우 38도 이상의 고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전신 쇠약감 – 수분 손실로 인해 무기력하고 어지러울 수 있습니다.
- 탈수 증상 – 소변량 감소, 입 마름, 현기증 등으로 나타납니다.
급성 장염의 진단 방법
의심되는 증상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지만, 중증이나 특정 원인 규명이 필요할 경우 다음과 같은 검사가 시행됩니다.
- 병력 청취 및 신체검사 – 최근 식사 내용, 해외여행 이력, 약물 복용 여부 등을 확인합니다.
- 혈액 검사 – 염증 수치(CRP, WBC), 전해질 수치 등을 통해 전반적인 상태를 파악합니다.
- 대변 검사 – 세균, 바이러스, 기생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됩니다.
- 내시경 검사 – 혈변이나 장출혈이 동반될 경우 대장내시경을 통해 원인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급성 장염의 치료 방법
급성 장염의 대부분은 보존적 치료로 호전됩니다. 원인에 따라 치료법이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됩니다.
1. 수액 치료
탈수 예방 및 전해질 균형 유지를 위해 경구 수분 보충제(ORS) 또는 필요 시 정맥 수액 치료가 필요합니다.
2. 식이 조절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은 피하고, 부드럽고 소화 잘 되는 음식(죽, 미음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금식은 심한 구토가 동반될 때만 단기간 시행합니다.
3. 약물 치료
- 지사제: 심한 설사로 불편함이 큰 경우 일시적으로 사용
- 항생제: 세균성 장염으로 확인된 경우에만 투여
- 구토 억제제, 진경제: 증상 완화 목적으로 사용
급성 장염의 예방법
- 손 씻기 철저히 하기 (특히 음식 전, 외출 후)
- 음식은 반드시 익혀 먹기
- 물은 정수된 물 또는 생수 마시기
- 위생 상태가 불확실한 해외에서는 날음식 피하기
- 아이들은 예방접종(로타바이러스 백신)을 통해 일부 장염 예방 가능
마무리 – 빠른 대처가 중요합니다
급성 장염은 대부분 일주일 이내에 회복되지만, 심한 탈수나 고열, 혈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평소 식습관과 위생관리로 장염을 예방하고, 증상이 있을 때는 충분한 수분 보충과 안정이 가장 중요합니다.
대구 중구 내과 황원장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포진 증상, 치료, 예방 (2) | 2025.04.11 |
---|---|
만성 췌장염의 원인과 치료 (4) | 2025.04.09 |
간의 국소결절성 과형성(FNH)이란? (2) | 2025.04.08 |
독감의 증상과 치료 (3) | 2025.04.07 |
위 용종의 종류와 의미, 그리고 치료 방법 총정리 (3)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