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의 국소결절성 과형성(FNH)이란? 증상, 원인, 진단 및 치료 총정리
오늘은 다소 전문적인 내용의 글을 포스팅합니다. 상복부 불편감을 주소로 우리내과 의원에 내원한 26세 여성에서 우연히 발견된 국소결절성 과형성(FNH)를 소개 합니다.대분분 검진시 우연히 발견되며, 치료가 필요치 않으며, 초음파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간 건강에 관심이 많다면 ‘국소결절성 과형성(FNH)’이라는 용어를 들어보셨을 수 있습니다. FNH는 간에 생기는 양성 종양 중 하나로, 대부분 특별한 증상을 유발하지 않고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정기 건강검진이나 복부 초음파에서 간 결절이 발견되면 많은 분들이 걱정부터 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간의 국소결절성 과형성(FNH)**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어떤 경우에 주의가 필요한지, 어떻게 진단하고 관리하는지에 대해 안내드리겠습니다.
FNH란 무엇인가요?
FNH(Focal Nodular Hyperplasia)는 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양성 종양 중 하나입니다. 여성에게서 더 자주 발생하며, 20~50대의 건강한 성인 여성에서 특히 자주 발견됩니다. 일반적으로 크기는 수 센티미터 내외이며, 대부분의 경우 무증상입니다. 간암이나 전이암과 달리 생명을 위협하는 병변은 아닙니다.
FNH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간 내 혈류 이상이 주요 원인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간의 특정 부위에 혈류가 증가하거나 변형되면, 그 부위의 간세포가 과성장하여 결절을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때문에 FNH는 **혈관 중심성 반흔(scar)**을 특징으로 합니다.
FNH의 주요 특징
- 대부분 무증상
- 간기능 검사상 이상이 없는 경우가 많음
- 크기는 보통 1~5cm 정도
- 90% 이상에서 악성화되지 않음
- CT나 MRI에서 중심성 반흔이 특징적으로 관찰됨
FNH는 어떻게 진단하나요?
FNH는 대부분 정기 건강검진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영상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복부 초음파: 기본적인 간 결절 평가
- CT(전산화단층촬영): 혈관 패턴 확인
- MRI(자기공명영상): FNH의 전형적인 중심성 반흔과 혈관 분포 확인에 유용
- 조직검사: 영상 검사로 확진이 어려운 경우 시행
영상 소견이 전형적이라면 조직검사 없이도 진단이 가능하지만, 간암이나 다른 양성 종양(예: 간선종, 혈관종)과 감별이 어려운 경우에는 조직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FNH의 치료는 어떻게 하나요?
대부분의 FNH는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무증상이고 크기 변화가 없는 경우 정기적인 추적 관찰만으로 충분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지속적인 복통 등 증상이 있는 경우
- 크기가 빠르게 증가하는 경우
- 악성 종양과의 감별이 어려운 경우
- 간 기능에 영향을 주는 경우
치료 방법으로는 간 절제 수술이 있으나, 이는 극히 드물게 시행됩니다. 최근에는 비침습적 방법인 고주파 열치료(RFA) 등이 일부 적용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필요 없습니다.
FNH와 간암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간암과 FNH는 영상 소견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 간암(HCC): 비정상적인 혈관 분포, 캡슐 구조, 괴사 부위 등
- FNH: 중심성 반흔, 균일한 간세포, 정맥성 혈류 분포
따라서 간경변이나 B형·C형 간염 등 간암 고위험군에서는 반드시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결론: FNH는 무서운 병이 아닙니다
간의 국소결절성 과형성(FNH)은 악성으로 변하지 않으며, 대부분 치료가 필요 없는 양성 종양입니다. 정기적인 검진과 영상 검사를 통해 상태를 꾸준히 관찰하면 충분하며, 불필요한 걱정은 오히려 스트레스가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 결절이 처음 발견되었을 경우에는 전문가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감별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간암과의 감별이 필요한 경우에는 소화기내과 전문의 또는 간 전문의의 진료를 권장드립니다.
대구 중구 우리내과 황원장
'건강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상포진 증상, 치료, 예방 (2) | 2025.04.11 |
---|---|
만성 췌장염의 원인과 치료 (4) | 2025.04.09 |
독감의 증상과 치료 (3) | 2025.04.07 |
위 용종의 종류와 의미, 그리고 치료 방법 총정리 (3) | 2025.04.06 |
매일 가벼운 사우나, 건강에 어떤 효과가 있을까? (2) | 2025.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