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이야기

목의 멍울(경부 종괴)의 원인과 치료 방법

내과 황원장 2025. 3. 13. 21:56
728x90

목의 멍울(경부 종괴)의 원인과 치료 방법

목의 멍울, 위험할까?

neck mass image

내과 의원을 방문하는 분들중 우연히 세면중 목에 멍울이 만져져서 내원하는 분들이 드물지 않게 있어 이 포스팅을 공유합니다. 대개 동네 클리닉에서는 경부 초음파 시행후 악성과 양성 종괴를 감별하게 됩니다. 목에서 혹처럼 만져지는 멍울(경부 종괴)은 많은 사람이 경험하는 증상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 양성이지만, 경우에 따라 치료가 필요한 질환일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목의 멍울이 생기는 원인은 무엇이며, 치료 방법은 어떻게 될까요?


목의 멍울 원인

1. 림프절염: 실제로 임상에서 가장 흔하게 보게는 원인입니다.

감염으로 인해 림프절이 부어올라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감기, 인후염, 편도염 등 호흡기 감염 후에 잘 발생합니다.

  • 특징: ✨통증과 압통이 있으며, 감염이 나아지면 크기가 줄어듦
  • 치료: 감염 치료(항생제, 소염제)

2. 갑상선 결절

갑상선에 결절(혹)이 생겨 멍울처럼 만져질 수 있습니다. 양성 결절이 많지만, 일부는 암일 수도 있어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 특징: 대부분 통증 없음, 크기가 서서히 커짐
  • 치료: 경과 관찰 또는 필요 시 수술

3. 침샘 질환(타액선 종양, 침샘염)

귀밑이나 턱 밑에 위치한 침샘에 염증이 생기거나 종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징: 부위에 따라 부음, 통증 동반 가능
  • 치료: 염증일 경우 항생제, 종양은 제거 수술 고려

4. 피지낭종(표피낭종,Epidermoid cyst)

피지샘이 막혀서 피부 아래에 낭종(물혹)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 특징: 둥글고 단단한 멍울, 가끔 염증 동반
  • 치료:  대개 치료는 필요치 않으나, 피지 낭종에 감염이 발생하면  절제 수술

5. 결핵성 림프절염

결핵균에 감염되어 림프절이 붓는 질환으로, 비교적 드물지만 면역력이 약한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징: 서서히 커지며 만졌을 때 부드럽거나 단단할 수 있음
  • 치료: 항결핵제 복용

6. 경부 종양(암)

드물지만, 두경부암(구강암, 후두암 등)이나 림프종 등의 악성 질환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 특징: ✨ 크기가 점점 커지고 단단하며 통증 없음
  • 치료: 수술, 항암치료, 방사선치료

진단 방법

목의 멍울이 생겼을 때 단순 감염인지, 정밀 검사가 필요한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진단 과정

  1. 문진 및 신체 검사 – 크기, 모양, 통증 여부 확인
  2. 초음파 검사 – 내과 의원에서는 임파선에 상기 소견들이 보일때 악성 림프절을 고려합니다.
    📌림프절 악성을 시사하는 초음파 소견
    경계가 불분명하거나 불규칙한 형태
    저에코(hypoechoic) 병변 – 정상 조직보다 어둡게 보임
    미세 석회화(microcalcifications) 존재
    길이보다 폭이 더 긴 병변(taller-than-wide shape)
    혈관이 과도하게 발달된 경우(혈류 증가, internal vascularity)
    림프절 내부의 피질 비대(cortical thickening) 또는 중심부 소실(loss of fatty hilum)
    이러한 소견이 보이면 추가적인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3. 혈액 검사 – 감염 여부 및 갑상선 기능 검사
  4. 미세침흡인세포검사(FNA) – 세포 검사로 양성·악성 감별
  5. CT 또는 MRI – 추가적인 정밀 검사 필요 시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반드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크기가 지속적으로 커지는 경우
  • 단단하고 움직이지 않는 경우
  • 통증 없이 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
  • 목소리 변화, 연하 곤란(삼킴 문제)이 동반될 때

치료 방법

목의 멍울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1. 염증성 원인(림프절염, 침샘염 등)
    • 항생제, 소염제 투여
    • 충분한 휴식과 면역력 강화
  2. 양성 종양(갑상선 결절, 피지낭종 등)
    •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으면 경과 관찰
    • 필요 시 절제 수술
  3. 악성 종양(암)
    • 수술적 제거
    • 방사선 치료 또는 항암 치료 병행

결론

목의 멍울은 대개 감염성 원인으로 생기며 자연적으로 사라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크기가 커지거나 통증 없이 단단한 경우에는 정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초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한 만큼, 증상이 의심된다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구 중구 우리내과 의원 황원장

728x90